월드패션 | 2010-11-19 |
2011 S/S Tokyo Collection
남성 ‘탈초식남’ 선언, 여성 ‘독창성’ 추구
지난 10월 중순에 개최된 ‘2011 S/S 도쿄 컬렉션’은 남성은 ‘남자다움’으로의 회귀에 초점이 맞춰졌고, 여성은 독창성 추구에 핵심 포인트를 두었다. 이번 컬렉션에서는 출구가 안보이는 폐쇄적인 틀을 깨기 위해 하고 싶은 것, 할 수 있는 것을 솔직하게 제안하는 움직임이 특히 강조됐다.
남성 컬렉션 ‘탈초식남’ 선언
이번 도쿄 남성 컬렉션에서는 인터넷을 통한 실시간으로 컬렉션을 볼 수 있게 했으며 약 40여개 브랜드가 신작을 발표했다. 또 젊은 디자이너를 중심으로 여러가지 쇼나 전시회가 개최됐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탈 초식남’의 선언이었다. ‘요시오코보’는 근육남들의 통해 금니, 타토우, 모히칸헤어 스타일로 관객을 위협했다. 자동차 드라이버를 그린 영화 ‘트랜스포머’에게 비롯된 전투적인 남성들을 테마로 컬렉션을 진행했다.
다양한 지퍼와 찢어진 옷, 뜯어진 소매 등을 교묘하게 처리해 남성미가 묻어나게 했다. “남자가 봐도 정말 멋진 남자를 표현하고 싶었다”는 것이 디자이너의 생각이었다.
1980년대부터 1990년대에 시부야 등에서 봤던 10대들의 ‘치마’를 테마로 한 것은 ‘바나르식크비자르’이다. 풀페이스의 헬멧을 쓴 키가 큰 모델들이 몸에 걸친 것은 소매나 등에 무수한 포켓이 붙은 레더의 블루존이나 밀리터리 웨어 등의 새로운 실루엣으로 ‘초식남’에게 도발을 걸어 왔다.
‘애트 이즈 릴’도 ‘남성다움’을 고집한 컬렉션을 발표했다. 테마는 ‘JURAKU 쥬라쿠’였다. 부서진 유리를 본뜬 소재를 전면에 깔은 활주로를 리젠트 모델들이 휘황찬란하게 활보했다.
세세한 애니멀 프린트의 파카나 재킷, 팬츠의 바리에이션 등을 통해 활동성을 강조했다. 여기에 아름답고 자유로운 것을 잊지 말라라는 간결한 메시지를 전달했다.
여성 ‘아트’ 중심에 독창성 제안
여성 컬렉션은 ‘아트’ 중심의 옷을 표현하는 젊은 디자이너들이 많이 눈에 띄었다. ‘안리아레이지(모리나가 쿠니히코)’는 소매가 크게 부풀어 올라 어깨 위까지 부풀어 오른 디테일에 천사의 날개와 같이 보이는 드레스를 발표했다. 상반신과 하반신 등 몸 외의 부분이 부풀어 오른 옷도 제안해 다른 세계에서 온 듯한 컬렉션을 선보였다.
‘나오시 사와야나기(Naoshi)’는 데님을 사용한 입기 쉬운 것 옷을 제안했다. “환경을 입는다”라는 테마에 따라 환경이나 주위의 공간에 관심을 가지게 하는 쇼를 전개했다. 바람을 안으면 둥근 실루엣을 낳는 재킷이나, 데님 소재를 사용해 나가노현의 직공이 짚 구두를 만드는 기술로 짠 부츠 등을 발표했다.
남성 컬렉션으로 데뷔한 ‘유이마 나카자트’도 독창성을 전면에 내세웠다. 시대를 초월한 우주적 공간은 영화와 같이 장대한 스케일을 느끼게 했다. 아크릴판이나 금속 등 일반적으로 옷에 사용되지 않는 소재를 활용해 컬렉션을 발표했다.
도쿄 컬렉션 위상 제고에 고민
상류 사람들(쿠마키리 히데노리)은 도쿄 미드타운의 건물이나 부지 내에 모델을 세워 베이직이면서 언밸런스한 귀여움을 가지는 아이비룩을 선보였다.
특히 합동 전시회와 활주로 쇼를 1 회로 집약한 ‘룸스린크’ 등은 미래에 대한 도쿄 컬렉션에 고민을 읽을 수 부분이었다.
약 10년 전에 시작된 ‘룸스’는 초기에 몇 개의 브랜드가 참가했지만, 해마다 참가수가 증가하고 있다. 올해 3월부터는 회장내에서 컬렉션을 열수 있게 했으며 이번에는 18개 브랜드가 참여했다.
프릴이 붙은 원피스나 데코라티브 장식이 붙은 레더 재킷 등도 선보였다. 내년의 간지를 의식한 ‘바니 락’을 테마로 변화가 풍부한 컬렉션을 발표한 한 브랜드는 쇼 종료 후 서둘러 내년 전시회 참가를 결정했다고 한다.
이에 대해 컬렉션 참가 디자이너들은 “여러 가지 브랜드 쇼가 흘러 나와 전시회에 사람이 온다. 평상시 만날 수 없는 곳에서 여러 가지 브랜드 쇼를 볼 수 있어 좋았다”고 말했다.
일본 정부가 지원하는 형태로 시작된 JFW(일본 도쿄 패션 위크)는 이번에 11번째이다. 이번 컬렉션 위크는 도쿄 걸즈 컬렉션에 참가하는 브랜드 등을 일부 불러 모으는 등 의욕적인 시도도 있었다. 그러나, 아직 유명 브랜드가 참여하지 않았으며 스폰서 기업 유치도 문제로 남았다.
이에 따라 주최측은 지난 7월 스폰서를 찾기위해 미국 IMG와 마케팅 계약을 맺었다. 이에 대해 IMG 관계자는 “도쿄 컬렉션도 파리나 뉴욕 등의 컬렉션과 같이 일반 소비자도 인지하는 이벤트로 해 가는 것이 급무”라고 강조했다.
남성 컬렉션 ‘탈초식남’ 선언
이번 도쿄 남성 컬렉션에서는 인터넷을 통한 실시간으로 컬렉션을 볼 수 있게 했으며 약 40여개 브랜드가 신작을 발표했다. 또 젊은 디자이너를 중심으로 여러가지 쇼나 전시회가 개최됐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탈 초식남’의 선언이었다. ‘요시오코보’는 근육남들의 통해 금니, 타토우, 모히칸헤어 스타일로 관객을 위협했다. 자동차 드라이버를 그린 영화 ‘트랜스포머’에게 비롯된 전투적인 남성들을 테마로 컬렉션을 진행했다.
다양한 지퍼와 찢어진 옷, 뜯어진 소매 등을 교묘하게 처리해 남성미가 묻어나게 했다. “남자가 봐도 정말 멋진 남자를 표현하고 싶었다”는 것이 디자이너의 생각이었다.
1980년대부터 1990년대에 시부야 등에서 봤던 10대들의 ‘치마’를 테마로 한 것은 ‘바나르식크비자르’이다. 풀페이스의 헬멧을 쓴 키가 큰 모델들이 몸에 걸친 것은 소매나 등에 무수한 포켓이 붙은 레더의 블루존이나 밀리터리 웨어 등의 새로운 실루엣으로 ‘초식남’에게 도발을 걸어 왔다.
‘애트 이즈 릴’도 ‘남성다움’을 고집한 컬렉션을 발표했다. 테마는 ‘JURAKU 쥬라쿠’였다. 부서진 유리를 본뜬 소재를 전면에 깔은 활주로를 리젠트 모델들이 휘황찬란하게 활보했다.
세세한 애니멀 프린트의 파카나 재킷, 팬츠의 바리에이션 등을 통해 활동성을 강조했다. 여기에 아름답고 자유로운 것을 잊지 말라라는 간결한 메시지를 전달했다.
여성 ‘아트’ 중심에 독창성 제안
여성 컬렉션은 ‘아트’ 중심의 옷을 표현하는 젊은 디자이너들이 많이 눈에 띄었다. ‘안리아레이지(모리나가 쿠니히코)’는 소매가 크게 부풀어 올라 어깨 위까지 부풀어 오른 디테일에 천사의 날개와 같이 보이는 드레스를 발표했다. 상반신과 하반신 등 몸 외의 부분이 부풀어 오른 옷도 제안해 다른 세계에서 온 듯한 컬렉션을 선보였다.
‘나오시 사와야나기(Naoshi)’는 데님을 사용한 입기 쉬운 것 옷을 제안했다. “환경을 입는다”라는 테마에 따라 환경이나 주위의 공간에 관심을 가지게 하는 쇼를 전개했다. 바람을 안으면 둥근 실루엣을 낳는 재킷이나, 데님 소재를 사용해 나가노현의 직공이 짚 구두를 만드는 기술로 짠 부츠 등을 발표했다.
남성 컬렉션으로 데뷔한 ‘유이마 나카자트’도 독창성을 전면에 내세웠다. 시대를 초월한 우주적 공간은 영화와 같이 장대한 스케일을 느끼게 했다. 아크릴판이나 금속 등 일반적으로 옷에 사용되지 않는 소재를 활용해 컬렉션을 발표했다.
도쿄 컬렉션 위상 제고에 고민
상류 사람들(쿠마키리 히데노리)은 도쿄 미드타운의 건물이나 부지 내에 모델을 세워 베이직이면서 언밸런스한 귀여움을 가지는 아이비룩을 선보였다.
특히 합동 전시회와 활주로 쇼를 1 회로 집약한 ‘룸스린크’ 등은 미래에 대한 도쿄 컬렉션에 고민을 읽을 수 부분이었다.
약 10년 전에 시작된 ‘룸스’는 초기에 몇 개의 브랜드가 참가했지만, 해마다 참가수가 증가하고 있다. 올해 3월부터는 회장내에서 컬렉션을 열수 있게 했으며 이번에는 18개 브랜드가 참여했다.
프릴이 붙은 원피스나 데코라티브 장식이 붙은 레더 재킷 등도 선보였다. 내년의 간지를 의식한 ‘바니 락’을 테마로 변화가 풍부한 컬렉션을 발표한 한 브랜드는 쇼 종료 후 서둘러 내년 전시회 참가를 결정했다고 한다.
이에 대해 컬렉션 참가 디자이너들은 “여러 가지 브랜드 쇼가 흘러 나와 전시회에 사람이 온다. 평상시 만날 수 없는 곳에서 여러 가지 브랜드 쇼를 볼 수 있어 좋았다”고 말했다.
일본 정부가 지원하는 형태로 시작된 JFW(일본 도쿄 패션 위크)는 이번에 11번째이다. 이번 컬렉션 위크는 도쿄 걸즈 컬렉션에 참가하는 브랜드 등을 일부 불러 모으는 등 의욕적인 시도도 있었다. 그러나, 아직 유명 브랜드가 참여하지 않았으며 스폰서 기업 유치도 문제로 남았다.
이에 따라 주최측은 지난 7월 스폰서를 찾기위해 미국 IMG와 마케팅 계약을 맺었다. 이에 대해 IMG 관계자는 “도쿄 컬렉션도 파리나 뉴욕 등의 컬렉션과 같이 일반 소비자도 인지하는 이벤트로 해 가는 것이 급무”라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c) 패션엔미디어, www.fashionn.co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