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이슈 2021-03-19

패스트 패션 시대 저무나? 자라·H&M·유니클로, 최악의 실적 쇼크

자라, H&M, 유니클로 등 세계 최대 패스트 패션 브랜드들이 지난해 매출 감소는 물론 순익이 70~90% 감소한 최악의 실적 쇼크를 기록했다.




자라, H&M, 유니클로 등 세계 최대 패스트 패션 브랜드들이 지난해 매출 감소는 물론 순익이 70~90%감소한 최악의 실적 쇼크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월 말 결산 스페인 인디텍스의 자라, 스웨덴의 H&M, 일본 패스트 리테일링의 유니클로, 미국의 갭  등 패스트 패션을 대표하는 기업 모두 지난 1년 초라한 성적표를 거뒀다.



패스트 패션 브랜드들의 위상 추락은  아소스, 부후, 쉬인, 잘란도, C&A 등 온라인 패션 브랜드의 시장 잠식과 함께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이라는 변수까지 겹쳐 어려움이 가중되었기 때문.



자라의 인디텍스는 전년보다 28% 줄어든 242억 8,000만 달러(약 27조 4천600억원), H&M은 20% 감소한 219억 5,800만 달러(약 24조 8천280억원), 유니클로의 패스트 리테일링은 12.3% 감소한 184억 2,000만 달러(약 20조 8천270억원)를 기록했다. 미국의 패스트 패션 브랜드 ‘갭(GAP)’은 –15.8%를 기록했다.


순이익은 인디텍스가 전년 대비 –70%인 13억1,000만 달러(약 1조 4천810억원), H&M은 –90%의 1억4,560만 달러(약 1천640억원), 패스트 리테일링은  –44.4%인 8억2,800만 달러(약 9천360억원)를 기록했다. 미국의 패스트 패션 브랜드 갭은  전년 3억5,100만 달러(약 3천960억원) 흑자에서 6억6,500만 달러(약 7천520억원)의 적자로 추락했다.




전세계 2,200 개의 매장을 보유한 인디텍스의 자라는 스포츠웨어 브랜드 나이키와 비슷한 외형 규모의 경쟁 관계였으나 130억 달러(약 14조 6천990억원) 이상의 격차를 벌이며 경쟁에서 크게 밀려나고 있다. 앞서 인디텍스는 버쉬카와 폴앤베어, 스트라디바리우스를 철수하기로 했다.


전세계적으로 5,000 개의 매장을 운영하는 H&M은 매출 감소 폭이 인디텍스보다 작지만 상대적으로 적자 폭이 크게 늘었다. 그만큼 할인 판매를 많이 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H&M은 코로나19 봉쇄 기간이 길어지며 1,800 개의 매장이 일시적으로 폐쇄되며 큰 타격을 받았다.


2,300 개의 매장을 전개하는 패스트 리테일링의 유니클로는 매출 외형은 자라, H&M에 비해 작지만 곧 2위 H&M을 추월할 기세다.


특히 유니클로 모기업 패스트 리테일링은 시가 총액이 지난 2월 기준 스페인의 인디텍스를 능가하며 세계에서 가장 가치있는 의류 소매업체로 등극했다.


국내에서는 불매운동 여파로 매장 패쇄가 늘어나고 있지만 도쿄 증시에 상장된 패스트 리테일링은 시총 10조 8725억엔(약 114조원)을 기록하며 유럽 증시에 상장돼 있는 자라의 인디텍스 시총 817억 유로(약 110조원)를 최초로 넘어섰다.



코로나 위기속에서 비수익 매장을 과감히 정리하고 중국 시장 공략과  불황일수록 강하다는 진면목을 보여주며 주가가 승승장구했다.


올해 들어서 연일 신고가를 갈아치운 패스트 리테일링의 최근 1년간 주가는 207% 올랐다. 같은 기간 닛케이평균 상승률(175%)을 압도한다.

이는 중국 시장을 집중 공략으로  코로나 이후 매출 회복에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고 온라인 판매를 확대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유니클로는 현재 일본 내 815개점, 중국 791개점으로 전세계 매장의 60%가 아시아에 집중되어 있다.


한국은  지난 2019년 9월 기준, 188개의 매장을 운영했으나 일본 제품 불매운동 및 코로나19 영향으로 순차적으로 부진 매장을 폐점해 143개점으로 줄어들었다.



사진 = 중국 상하이의 유니클로 매장


반면 미국 시장에 초점을 맞춰온 갭과 유럽 시장에 집중돼 있는 자라와 인디텍스, H&M 등 경쟁업체들은 매출 회복에 오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유럽과 미국 지역에 점포의 70%가 집중된 자라는 대규모 도시 봉쇄로 인한 잇따른 휴업으로 매출 직격탄을 맞았다. 인디텍스는 중국에 467개의 매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아시아권 매출 비중은 23%에 머물고 있으며 H&M은 아시아와 오세아니아 시장 비중은 15%에 불과하다. 


글로벌데이터의 소매 담당 애널리스트 아너 스트라찬은 "아시아는 코로나 사태 이후 소비 지출이 가장 빠르게 회복되겠지만 유럽과 미국, 캐나다 등은 회복이 많이 지연될 것"으로 전망했다.


패션엔 류숙희 기자

fashionn@fashionn.com


Related

News Ranking

  • Latest
  • Popular
  1. 1.고소영, 50대 패셔니스타의 시장 패션! 데님과 바람막이 재킷이면 끝 나들이룩
  2. 2. 최지우·이수경·이준영, 잠실 흔든 자카드 & 페이즐리 아이코닉 럭셔리룩의 진수
  3. 3. 정은채-신예은, 구멍숭숭 둘다 똑같은 뜨게질 가방...보부상 스타일 보헤미안 네트백
  4. 4.송경아, 9살 딸과 수채화 같은 한강 소풍! 닮은꼴 청청 모녀 커플 피크닉룩
  5. 5.‘결혼 1개월’ 효민, 신혼에 빠진 새댁의 요즘 패션! 꾸안꾸 러블리 새댁룩
  6. 6.소녀시대 티파니영, 35세 사랑스런 꽃 미모! 더 치명적인 눈웃음 플로럴 원피스룩
  7. 7.‘싱글맘’ 조윤희, 꼭 닮은 7살 딸과 오키나와 여행! 끼까지 닮은 모녀 커플룩
  8. 8.제이엔지코리아, 엄마들도 반한 키즈룩 '지프키즈' 2025 컨벤션 '반응폭발'
  9. 9.소녀시대 수영, 헐리우드 진출 복터졌네! 가방까지 깔맞춤한 시크한 커리어우먼룩
  10. 10.노르디스크, 에스파 카리나와 여름 별장의 야드 캠핑 무드 여름 화보 공개
  1. 1. 최은경 아나, 포항 해병대 아들 면회갔나? 기분 좋은 니트 셋업 바닷가 핫섬머룩
  2. 2. 제니·리사·로제·에스쿱스, K스타들 멧갈라 찢었다...상상초월 블랙 테일러링
  3. 3. 금새록, ‘무쇠소녀단’ 도전 앞둔 도시 시크녀! 지퍼 푸른 멋녀 재킷 투피스룩
  4. 4. 이세영, 11년 동안 의리 지킨 커리어우먼! 롱 재킷으로 힘준 도시녀의 파워우먼룩
  5. 5. 블랙핑크 제니, 특급 스타와 만남! 톱모델 지지 하디드와 환상의 비주얼 투샷
  6. 6. 남규리, 칸 홀린 오렌지 여신 핏! 비율 좋은 165Cm 롱 기럭지 민소매 드레스룩
  7. 7. 결혼 2주 앞둔 아이린, 발레 다이어트 달라진 뒤태...개미허리 자랑 백리스 홀터넥
  8. 8. 블랙핑크 로제, 아파트 신드롬 이어 멧갈라 홀렸다...날개 달린 블랙 슈트룩
  9. 9. 신지, 엄빠집 가는길! 카디건도 숄더백도 강렬하게 레드 깔맞춤
  10. 10. 르세라핌 카즈하, K팝 요정이 레깅스를 입을 때! 몸매 만점 활처럼 휜 트레이닝룩

Style photo

  • 이미지
  • 이미지
  • 이미지
  • 이미지
  • 이미지
  • 이미지
  • 이미지
  • 이미지
  • 이미지
  •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