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뉴스 | 2019-10-18 |
유니클로, 불매운동 재점화되나? 위안부 모독 광고 '분노 폭발'
유니클로의 TV 광고가 공분을 사고 있다. 광고 중간에 등장하는 "80년대 일을 어떻게 기억해"라는 발언이 우리나라 일제강점기 시대를 겨냥했다는 의혹 때문이다.
일본 「유니클로」의 TV 광고가 논란에 휩싸였다. 광고 중간에 등장하는 "80년대 일을 어떻게 기억해"라는 발언이 우리나라 일제강점기 시대를 겨냥한 것이라는 의혹 때문이다.
논란이 커지면서 온라인상에서는 다시 비난 여론이 형성됐고, 불매운동을 더욱 강력하게 전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유니클로」는 지난 1일 일본 공식 유튜브에 새로운 광고 영상을 공개했다. 해당 영상은 지난 15일부터 15초 분량의 '유니클로 후리스 : LOVE & FLEECE 편'으로 국내 TV광고로도 방영되고 있다.
문제가 되는 부분은 15초 분량의 광고에서는 98세의 패션 컬렉터 할머니와 13세인 패션 디자이너 소녀가 이야기를 나누는 부분이다.
영상 속 소녀는 "스타일이 완전 좋은데요. 제 나이 때는 어떻게 입으셨나요"라고 묻자 할머니는 "맙소사. 80년도 더 된 일을 기억하냐고"라고 답한다.
논란이 되는 부분은 80년도 더 된 일을 어떻게 기억하냐고 말한 부분이다. 영상 속에서 언급된 80년 전인 1939년은 우리나라가 일본의 탄압을 받던 일제 강점기 시기이다.
광고를 보는 관점에 따라 해석은 다양할 수 있지만 영상 속에서 언급된 80년 전인 1939년은 우리나라가 일본의 탄압을 받던 일제 강점기 시기로, 일본 강제징용과 우리나라 여성들이 일본군 위안부로 끌려간 시기이기 때문이다.
특히 1939년은 일본이 '국가총동원법'을 근거로 강제징용을 본격화한 시기이기도 하다. 그 해부터 1945년 해방 직전까지 강제징용에 동원된 인구만 700만 명에 이른다.
당초 일본산 불매운동을 촉발된 것도 강제징용 판결 때문이다. 강제징용 피해자 손해배상 소송에서 대법원이 지난해 10월 배상 판결을 내리자 올 상반기 일본 정부는 반도체 핵심 소재 3개 품목의 수출 규제를 시행했다. 이에 우리 국민들은 일본제품을 '노 재팬' 운동을 벌이며 맞불을 놨다.
광고를 본 네티즌들은 불매운동의 확산을 예고했다. 한 네티즌은 "일본 「유니클로」가 아무 생각없이 이 광고를 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유니클로」 불매 운동을 제대로 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편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18일 페이스북을 통해 “이건 정말 의도된 광고라고 밖에 볼 수 없다. 유니클로는 이제 완전히 돌아올 수 없는 선을 넘었다”라며 “이젠 우리 네티즌들과 불매운동을 넘어 진정한 퇴출운동을 펼쳐 나가야겠다”라고 강조했다.
서 교수는 “80년 전은 우리나라가 일본의 탄압을 받던 일제강점기 시기”라며 “특히 1939년은 일본이 '국가총동원법'을 근거로 강제징용 등 만행이 자행되던 시기이며 그 해부터 1945년 해방 직전까지 강제 동원된 인구만 수백만 명에 이른다”고 지적했다.
↑사진 =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 페이스북 캡쳐
서교수는 한국 광고 자막만 다르게 번역한 점도 꼬집었다.
일본 광고는 “세상에, 그렇게 오래된 일은 기억 못한다”(Oh My God, I can't remember that far back)라고 나오지만 한국 광고에서는“맙소사! 80년도 더 된 일을 기억하냐고?”라고 의역한 자막이 게시됐다. 한글 자막에만 ‘80년’이라는 자막을 특정한 것에는 다분히 의도가 있어 보인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유니클로는 이날 공식 입장을 내고 그런 의도가 전혀 없었고, 의역은 단순히 광고 의도를 잘 전달하기 위한 차원이었다고 반박했다.
"지금도 현역에서 활동하는 98세의 실제 패션 콜렉터와 13세의 패션 디자이너를 모델로 기용해 유니클로 후리스를 즐긴다는 점을 직관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80년'이라는 숫자를 넣은 것이며 유니클로는 전세계 어디에서나 정치적 또는 종교적 사안, 신념 및 단체와 어떠한 연관 관계도 없다”고 해명했다.
패션엔 허유형 기자
fashionn@fashionn.com
- <저작권자(c) 패션엔미디어, www.fashionn.co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